Recent Changes - Search:

Medianote


Main

Literarystudy

Literarynote

Blog

Recently Written

Recent Comments

edit SideBar


Spinozadeath

Spinoza를 이해하기 위한 몇 가지 개념 정리: 죽음에 대하여

죽음은 독립된 혹은 폐쇄된 하나의 개체의 관점에서만 성립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신의 관점에서 죽음은 불합리하며 심지어는 불가능하기까지 하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죽음이란 신체를 이루고 있는 부분적 요소들이 더 이상 그 신체를 유지하는 관계를 가지지 않을 때이다. 즉 서로 다른 질서를 갖는 부분 요소들이 특정한 관계 아래에서 특정한 개체를 구성하는데, 만일 이 개체를 특징 짓는 특정한 관계가 해체되거나, 더 이상 부분 요소들의 결합하는 관계가 파괴되기에 이르면 죽음이라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처럼 특정한 신체를 이루고 있는 관계가 파괴되거나 해체된다는 것은 "영원한 진리 그 자체인 이 관계가 더 이상 현재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에 의해 실행되지 않게 될 때를 가리킨다. 사라진 것은 영원한 진리인 관계가 아니다. 사라진 것은 그 관계가 그것들 사이에서 성립되었던 바의 부분들이고, 이제는 다른 관계를 취하고 있는 부분들이다. 예를 들면, 독은 혈액을 해체시켜, 즉 혈액의 부분들을 다른 신체들을 특징 짓는 다른 관계들 속으로 들어가도록 결정한다(더 이상 혈액이 아니다)"(Deleuze 32-33). 죽음은 신체를 이루고 있는 수많은 부분적 요소들의 특정한 관계가 파괴되면서, 이 부분적 요소들이 새로운 특정한 관계로 이행함을 의미한다. 그래서 죽음은 관계 그 자체가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관계를 맺고 있는 부분들이 새로운 다른 부분들과 맺는 새로운 관계의 형성을 의미한다. 진정으로 파괴되는 것은 신체를 특징 짓는 특정한 관계이며, 이 관계 아래 배치된 특정한 부분적 요소들인 것이다. 따라서 신의 관점으로 볼 때, 죽음은 관계 그 자체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관계에서 다른 특정한 관계로의 변형일 뿐이다. 신의 관점에서 절대적인 죽음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악은 어떤 무엇도 아니라는 논제는 . . . 온갖 방식을 통해서 서로 결합되는 관계들이 언제나 존재한다는 것이다. . . . [관계들의 적합 부적합에 따른 상이함들] . . . 이런 의미에서, 신체가 시체로 전화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말할 수 있는 죽음이 있다. . . . 슈바르첸 베르크는 죽음은 생물학적 문제가 아니라 형이상학적인, 혹은 윤리학적인 문제라고 말한다: <신체는 시체로 변할 경우에만 죽은 것이다 라고 말할 근거가 없다. . . . 왜냐하면, 때때로 어떤 사람은 아주 심한 변화를 겪어서, 내가 보기에 그 사람이 동일한 사람이라고 쉽게 말할 수 없을 것 같은 일이 일어나기 때문이다"(Deleuze 33-34).

인용 및 참고
Deleuze, Gilles. Spinoza: Practical Philosophy. trans. Robert Hurley. San Francisco, City Lights Books, 1988. Spinoza, Benedict de. A Spinoza Reader. ed & trans. Edwin Curley. New Jersey, Princeton UP, 1994.

2006/10/26 22:07 2006/10/26 22:07

Edit - History - Print - Recent Changes - Search
Page last modified on November 30, 2010, at 11:28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