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Changes - Search:

Medianote


Main

Literarystudy

Literarynote

Blog

Recently Written

Recent Comments

edit SideBar


Spinozaconsciousness

Spinoza를 이해하기 위한 몇 가지 개념 정리: 의식에 대하여

의식은 결과로서 주어진 실재를 하나의 전체로 이해한다. 그러나 의식은 전체를 이루고 있는 "살아있는 부분"들이 결합하거나 해체되는 관계들의 원인과 본질(원인들의 질서)을 이해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원인과 본질 그리고 결과로서 전체만을 수용하는 의식은 우리로 하여금 "부적합한 관념들, 혼란스럽고 절단된 관념들, 즉 자신들의 고유한 관계들로부터 분리된 결과들만을 가질 수밖에 없다"(들뢰즈 34-35). 의식은 세 가지 환상으로 구성되고 작용하는데, 1) 의식이 맨 처음 포착한 내용은 신체들과 관념들간의 작용의 결과이기 때문에, 사물의 질서를 역전시켜 이해한다(목적인의 환상). 2) 따라서 신체들간의 관계의 질서에서 파생된 결과를 통해 의식은 자기 자신을 운동의 제1원인으로 간주하게 되면서, 신체를 지배하고 있다고 여긴다(자유명령이라는 환상). 3) 그러나 제1원인으로서 신체에 대한 지배력을 확인할 수 없거나, 목적에 대한 원인으로서 자기 자신을 상상할 수 없게 되면, 보다 큰 전체성으로서, 모든 사물들의 목적으로서, 그리고 자유명령의 주체로서, 이성과 의지를 가지고 있는 신에게 그 영예를 돌린다(신학적 환영). 의식은 이 세 가지 환상들과 분리될 수 없으며, 그로부터 어떠한 원인의 결과들에 따라, 이 결과를 원한다고 말하면서 결과를 원인으로 환상한다. 의식은 원인을 알지 못한 채, 외부적 신체와 외부적 관념들이 우리에게 끼친 결과들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것을 욕망할 때에, 의식이 그 대상을 좋은 것이라고 판단하면서, 우리의 욕구에 의식을 각인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스피노자에게 이 관계는 역전된다. "욕구는 각 사물이, 즉 연장에 속하는 각각의 신체와 사유에 속하는 각각의 영혼, 각각의 관념이 자신의 존재 속에 계속해서 머무르려는 노력(코나투스 conatus)에 다름 아니다"(들뢰즈 36). 자신의 존재 속에 머무르려는 노력은 다양한 다른 신체들과 대상들과 조우하는 과정에서, 매 순간 우리 자신에게 강요하거나 촉발되는 것(변용 affections)에 의해 결정된다. "바로 결정인자로서의 이 변용들이 필연적으로 코나투스에 대한 의식의 원인이 된다"(들뢰즈 37). 코나투스에 대한 의식은 촉발에 의해 일어난다. 또한 기쁨이나 슬픔(즉 매 순간 조우하는 관계들로부터 나오는 결합적 관계나 해체되는 관계)의 반복적 주기는 코나투스의 변용을 발생시키고, 이 변용에 의해 발생하는 이행(즉 보다 큰 전체에서 보다 적은 전체로, 혹은 보다 적은 전체에서 보다 큰 전체로의 이행)의 과정에서 파생되는 지속적인 감정이 의식이다. 의식은 관계들의 결합과 해체에 따라 변형되는 운동의 이행에 관한 감정일 뿐이다. 의식은 우선적으로 신체들의 촉발과 변용들로부터 발생한다. 촉발과 변용은 코나투스의 이행을 촉구하며, 따라서 자기 자신의 존재성에 머무르려는 노력으로서 욕구에 대한 의식을 각인시킨다. 이런 이유에서 의식은 이행에서 나오는, 이 이행에 대한 감정이며, 변용들의 결과이며, 결과들의 법칙이다. 따라서 우리가 어떤 것을 욕구하고 욕망하는 것은, 의식이 "그 대상을 좋은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 아니라, 반대로 우리가 그것을 좋은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우리가 그것을 위해 노력하고 그것을 원하고 욕구하고 욕망하기 때문이다"(들뢰즈 36). 관계들의 결합(기쁜 관계)과 해체(슬픈 관계)와 같은 이행과 운동의 결과들에 대한 감정을 통해 의식은 일정한 법칙(도덕, 선악 등)을 도출한다. 즉 의식은 관계들의 결합과 해체의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결과만을 받아들이고 실천하기 위해 도덕을 만들어낸다. 도덕적 가치들은 의식의 기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열매와 자신의 신체와의 관계를 알지 못하는)아담은 자신에게 부여된 신의 금지(금단의 열매)의 의미를 명령으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면서 도덕을 만들어 낸다. 의식은 무지에서 나온다. 그것은 그 자체 결과이며 동시에 결과만을 받아들이고, 수용된 결과를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의식은 수동적 실천의 원인에 불과하다. 그것을 인식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인용문헌
질 들뢰즈. 『스피노자의 철학』. 박기순 옮김. 민음사. 2001.

2006/10/26 21:46 2006/10/26 21:46

Edit - History - Print - Recent Changes - Search
Page last modified on November 30, 2010, at 11:31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