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note
|
HarawayDonna Haraway의 Cyborg Manifesto에 관한 짧은 노트해러웨이가 언급하는 사이보그의 이미지를 인간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들: 사이보그는 로봇이나 기계 그 자체가 아니다, 그래서 사이보그 이미지에는 구시대의 가치가 존속한다. 또 새로운 테크놀러지가 구시대적의 가치와 결합하면서 혼종성으로 버무려지고 괴물적인 이미지를 드러내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면에는 구시대 가치에 대한 향수를 발생케 하는 것이 있으며 또 그래야만 한다. 왜냐하면 사이보그 같은 새로운 테크놀러지의 산물은 인간의 몸--구시대적인 것 같지만 원래부터 존속해왔던--이 없으면 한계로 가득한 로봇에 불과하며, 나아가 테크놀러지의 주체는 인간이기 때문이다. 인간주의적 관점의 요체: 이러한 관점은 확장된 테크놀러지와 그 산물로서의 기계에 대한 인간주의적 두려움에서 비롯한다. 다른 어떤 것과도 구별되는 순수한 존재로서의 인간. 그러나 테크놀러지가 이 존재를 타락시키고, 인간을 기능화 하여 지배의 도구로 전락시켰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이보그는 병적이고 불순한 이미지로 가득 찬 괴물이며 하나의 불행이다. 따라서 되돌아가서 타락한 불행의 존재를 타락 이전의 존재로 복원시켜야 한다. 해러웨이의 비판: 테크놀러지에 관한 이전의 비판적 관점들--해러웨이는 몇 몇 맑시스트들과 페미니스트들을 예로 든다--은 사이보그를 인간성의 타락으로 간주하거나 남성적인 우월성을 되찾으려는 노력이라고 봄으로써, 인간주의적 관점에 토대를 두고 있는 것에는 모두가 비슷했다고 해러웨이는 지적한다. 인간주의적 가치를 복원시키려는 관점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자기 확신에 찬 주체성과 인간의 순수 정체성을 사수하고 복원시키려는 의도뿐 아니라, 이것을 위해 '관계'를 추상화하는 문제에 있다.(예컨대, 남성과 백인이 여성과 유색인종을 배제하고 타자로 만들어 그들 뿐 아니라 자기 자신을 추상적 존재로 만들어버린 것과 흡사) 남성에 대립하는 존재로서의 여성을 주장하는 몇 몇 페미니즘의 관점과 유사하게, 사이보그를 순수한 인간의 몸에서 불순한 것으로 변질되었다고 이해하고, 그 대항으로 인간적 가치들을 복원시키겠다는 생각은 인간이 실질적으로 다른 존재자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간과하는 것이며, 인간을 이상화된 순수 이미지로 파악하는 관념적 소망으로 자신의 존재성을 결정하려는 의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의 추상화는 일련의 과정을 밟는데, 우선 인간주의는 다른 모든 존재로부터 배타적 차이를 주장하여, 인간 자신을 자존적 존재로 만들어 고립시킨다. 이것은 다른 존재와의 대립적이고 대상적인 관계를 임의적으로 결정한다. 대립적이고 대상적인 관계는 상대 뿐 아니라 자신 까지도 추상화한다. 왜냐하면 대립이나 대상 관계 자체가 추상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 번째 단계로, 대립 속에서 추상화된 존재는 불가피하게 적(敵)에 상응하는 대등한 힘을 가진 정체성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네 번째로, 이 정체성 자체가 추상적 결정이기 때문에 그것을 실질적으로 규정해주고 보증해주는 전체 속으로 중화되고 용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남성에 대립하는 여성, 자본에 대립하는 소외된 노동, 권력의 대상으로서의 피지배자, 이성을 가지지 않은 다른 존재와 구별되는 순수 현존으로서의 자아. 따라서 대립을 통해 결정된 정체성은 인간주의적 구도(인간/동물, 유기체/기계, 물질/비물질 등) 안에서 작동하고, 이것은 배제되었거나 타락한 것(순수한 인간성)을 복권시키는 과업에 복무한다: "신은 죽었다. 따라서 이제는 여신이다." 해러웨이가 사이보그 이미지를 통해 비판하는 것은 인간주의적 추상과 감상, 대립물의 통일이나 전복, 그리고 순수 현존의 복원이다. 말하자면 사이보그 이미지는 관념론에 대한 비판이다. 사이보그 이미지의 유용성은 부정적 결정과 망상적 신념으로부터 존재의 추상성을 분리해내는데 있다. 사이보그 이미지는 인간주의적 규준들--사유, 감정, 판단, 능동 등--자체가 이미 우리의 신념에서 출발한 미리 주어진 추상적 존재를 규정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사이보그 이미지는 이러한 규준들로부터 파생하는 지배의 수단으로서 존재의 경계들을 구분하는 위계가 파괴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더 이상 이 원형적 규준들이 유효하지 않음을 폭로한다. 구체적인 감각을 통해 볼 때 우리는 이미 이질적인 혼합의 조건 속에서 살아가는 사이보그라고 해러웨이는 주장한다. 사이보그 이미지에서 인간의 위상은 위기에 처한다. '사이보그 육체는 순수하지 않다. 그것은 에덴동산에서 태어난 것도 아니며 단일한 정체성을 추구하지도 않는다. 기계적인 기술에서 맛보는 강렬한 즐거움은 더 이상 죄가 아니라 형상화의 한 측면이다. 기계는 우리 자신이며 우리의 관점이고 형상화된 우리의 한 모습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이보그는 존재 방식의 문제이며, 따라서 그것은 '우리 자신의 존재론이며...정치학'이다.
더 이상 완전한 신체를 반영하지도 못하고, 순수하지 못한 불순한 것들의 부분적인 결합으로 구성된 사이보그(의 이미지)는 탈인간화(de-humanization)의 모델에 다름 아니다: "사이보그는 유기체적 가족의 모델 위에 세워진 공동체의 꿈을 가지지 않는다. 그것은 더 이상 외디푸스적 기획을 가지지 않는다....사이보그는...군사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국가사회주의의 서출내기(illegitimate offspring)이지만, 동시에 그를 낳게 한 원본을 믿지 않는다. 즉 아버지는 이제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었다." 참고문헌 Haraway, Donna. "A Cyborg Manifesto: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feminism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Simians, Cyborgs, and Women: The Reinvention of Nature. London: Free Association Books, 1991. 2006/10/18 03:40 2006/10/18 03:40 |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