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Changes - Search:

Medianote


Main

Literarystudy

Literarynote

Blog

Recently Written

Recent Comments

edit SideBar


Convenancedisconvenance

Sinoza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개념 정리: 적합(convenance)과 부적합(disconvenance)

스피노자에게 있어 선과 악이 좋음과 나쁨으로 치환된다면, 좋음과 나쁨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즉 어떤 대상들에 대해 우리는 어떤 근거로 그 대상을 좋은 것 혹은 나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여기서 한가지 혼동해서는 안될 것이 있는데, 우리가 어떤 대상에 대해 좋은 것 혹은 나쁜 것이라고 간주할 때에는, 그것을 절대적 가치로서 좋음(선 good)과 나쁨(악 bad)으로 결정한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점이다. 좋음과 나쁨은 가치의 상대적 결정에 의존한다. 따라서 어떤 대상을 내가 좋은 것이라고 말할 때는, 그것이 나의 본성에 적합하거나 나의 본성과 결합하는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뜻하며, 내가 나쁜 것이라고 말할 때는, 그것이 나의 본성에 적합하지 않거나 나의 본성과 결합하지 않는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동일한 대상에 대해 우리는 그것이 어떤 관계 아래에서는 적합하다고 말하기도 하며, 또 다른 관계 아래에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사물들은 적합성과 부적합성에 따라 갈라질 것이다: "그 자체로서의 악은 존재하지 않으며, (나에게) 나쁜 것이 존재한다. <인간 신체의 부분들 사이에 존재하는 운동과 정지의 관계가 보존되도록 하는 것은 좋은 것이다. 반대로 인간 신체의 부분들이 다른 운동과 정지의 관계를 갖도록 하는 것은 나쁜 것이다>. 나의 관계와 결합되는 관계를 갖는 모든 대상은 좋은 것이라고 일컬어질 것이다(적합 convenance). 나의 관계를 해체하는 관계를 갖는 모든 대상은, 다른 관계들과 결합되긴 하지만, 나쁜 것이라고 일컬어질 것이다(부적합 disconvenance)"(Deleuze 33). 따라서 우리가 변형과 변화라고 간주하는 것들은 대상 자체의 변형과 변화라고 이해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관계들의 변형과 변화라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어떠한 행위가 좋은 것인지 혹은 나쁜 것인지를 구분하는 근거는 행위 자체에 있지 않고, 그 행위가 어떤 관계에 의해 생겨난 것인지 아니면 어떤 관계를 생기게 하는지에 달려있다. 그런데 심지어 범죄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규준을 적용할 수 있을까? 스피노자는 네로(Nero)와 오레스테스(Orestes)의 친모살해의 예를 통해 이 문제를 설명한다. 네로가 자신의 어머니(Agrippina)를 살해할 때와는 달리, 오레스테스가 어머니(Clytemnestra, 오레스테스의 아버지 Agamemnon을 죽인)를 죽일 때는 아무도 그를 비난하지 않거나 최소한 그가 무자비한 인간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행위 그 자체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의미하지 않는다. 어떠한 행위가 부도덕한 것 혹은 선한 것으로 구별되기 위해서는, 그 행위가 어떠한 사물의 이미지와 연결되는가에 달려있다. "어떠한 행위에 의해 해체되는 관계를 갖는 사물의 이미지와 연결될 때 우리는 이를 나쁘다고 한다(내가 누군가를 때려죽인다). . . . 동시에 같은 행위가 만일 서로 결합하는 관계를 갖는 사물의 이미지와 연결될 때 좋은 것이라고 말한다(연철행위)"(Deleuze 35). 어떠한 행위에 의해 해체되는 사물의 이미지에 연결되는가 혹은 결합하는 사물의 이미지에 연결되는가에 따라 우리는 좋은 것 혹은 나쁜 것이라고 간주하게 된다. 따라서 오레스테스가 친모를 살해 할 때 결합되는 관계의 이미지는, 죽어가는 클리템네스트라와 오레스테의 행위가 아니라, 클리템네스트라에 의해 죽임을 당한 아가멤논의 이미지와 오레스테스의 행위이다. 어머니에 의해 살해된 아버지의 이미지와 아들의 복수의 이미지가 서로 적합한 관계로 연결될 때 우리는 오레스테스의 행위를 긍정적인 것으로 이해하게 된다. 반면에 네로의 경우, 서로 연결되는 이미지는 네로의 살해행위와 아그리피나의 죽음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아들의 행위는 어머니와의 관계를 파괴한다. 연결되는 관계는 아들과 어머니의 관계가 해체되는 이미지일 뿐이다. 따라서 우리는 네로에 대해 나쁜 것 혹은 무자비한 것이라고 간주하게 된다. "다시 말해, 분명히 악덕과 덕은 구별된다. 선한 행위가 나쁜 행위도 구별된다. 그러나 이 구별은 행위 그 자체나 행위의 이미지 자체에서 나오지 않는다('어떤 행위도 그 자체를 고려하면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Deleuze 36). 따라서 의미는 계열화되는 관계들에 따라 결정된다. 의미는 관계들이 적합하거나 부적합한 관계들의 위상학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지 그 자체 생기는 것이 아니다.

인용 및 참고 Deleuze, Gilles. Spinoza: Practical Philosophy. trans. Robert Hurley. San Francisco, City Lights Books, 1988. Spinoza, Benedict de. A Spinoza Reader. ed & trans. Edwin Curley. New Jersey, Princeton UP, 1994.

2006/11/04 03:37 2006/11/04 03:37

Edit - History - Print - Recent Changes - Search
Page last modified on September 11, 2009, at 07:50 AM